스프링 MVC를 이용해서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할 수 있는데, 이번 시간에는 스프링 MVC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메이븐/그레이들 프로젝트는 웹을 위한 디렉터리 구조가 추가됩니다. 프로젝트를 생성했다면 그 하위에는 아래와 같이 폴더를 생성해 줍니다.
- src/main/java
- src/main/webapp
- src/main/webapp/WEB-INF
- src/main/webapp/WEB-INF/view
webapp 폴더는 HTML, CSS, JS, JSP 등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코드가 위치합니다. WEB-INF에는 web.xml 파일이 위치합니다.
서블릿 스펙에 따르면 WEB-INF 폴더의 하위 폴더로 lib 폴더와 classes 폴더를 생성하고 각각의 폴더에 필요한 jar 파일과 컴파일된 클래스 파일이 위치해야 합니다. 하지만 메이븐이나 그레이들 프로젝트의 경우 필요한 jar 파일은 pom.xml/build.gradle 파일의 의존을 통해 지정하고 컴파일된 결과는 target 폴더나 build 폴더에 위치합니다. 때문에 WEB-INF 폴더 밑에 lib 폴더나 classes 폴더를 생성할 필요가 없습니다.
pom.xml를 보실까요?
<dependencies>
<dependency>
<groupId>javax.servlet</groupId>
<artifactId>javax.servlet-api</artifactId>
<version>3.1.0</version>
<scope>provided</scope>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javax.servlet.jsp</groupId>
<artifactId>javax.servlet.jsp-api</artifactId>
<version>2.3.2-b02</version>
<scope>provided</scope>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javax.servlet</groupId>
<artifactId>jstl</artifactId>
<version>1.2</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groupId>
<artifactId>spring-webmvc</artifactId>
<version>5.0.2.RELEASE</version>
</dependency>
</dependencies>
해당 의존성들은 스프링을 이용해서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의존성 설정입니다. 서블릿 3.1, JSP 2.3, JSTL 1.2에 대한 의존을 추가했고 스프링 MVC를 사용하기 위해 spring-webmvc 모듈에 대한 의존을 추가했습니다.
이클립스 톰캣 설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먼저, 이클립스에서 웹 프로젝트를 테스트하려면 톰캣이나 제티와 같은 웹 서버를 설정해야 합니다. 서블릿 3.1과 JSP 2.3 버전을 기준으로 톰캣 8/8.5/9 버전을 사용하면 됩니다.
톰캣 다운로드
https://tomcat.apache.org/download-80.cgi
Apache Tomcat® - Apache Tomcat 8 Software Downloads
Welcome to the Apache Tomcat® 8.x software download page. This page provides download links for obtaining the latest versions of Tomcat 8.x software, as well as links to the archives of older releases. Unsure which version you need? Specification versions
tomcat.apache.org
- zip이나 tar.gz으로 압축된 톰캣 다운로드
맥 OS : Eclipse - 환경설정 - Server/Runtime Environments 선택 - Add
[이클립스 IDE 버전을 사용하시는 분이라면 EE 버전으로 다운로드하셔야 합니다. IDE 버전은 Server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저는 그래서 STS4를 다운로드해서 진행했습니다.
위 그림처럼 톰캣 서버 실행환경 설정을 추가합니다.
이번시간에는 Spring MVC를 실습해 보기 위한 환경설정 및 의존설 설정을 해주었습니다.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스프링 MVC - 컨트롤러 구현 해보기 (0) | 2024.03.25 |
---|---|
[Spring] 스프링 MVC 설정 (0) | 2024.03.25 |
[Spring] @EnableTransactionManagement 주요속성과 트랜잭션 전파 (0) | 2024.03.06 |
[Spring] @Transactional 속성 (0) | 2024.03.04 |
[Spring] @Transactional 적용 메서드 롤백 처리 (0) | 2024.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