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 포스팅은 2020년 정처기 시나공 문제집을 바탕으로 복습(요약) 용도로 게시되었습니다.
1. 식별 대상 데이터
- 송 수신 시스템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
- 교환되는 데이터 종류 :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 송 수신 데이터 항목, 공통 코드
*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
- 송, 수신 시스템을 연계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 시스템 공통부와 거래 공통부로 나눔
☞ 시스템 공통부 : 시스템 간 연동 시 필요한 공통 정보
# 인터페이스 ID, 전송 시스템 정보, 서비스 코드 정보, 응답 결과 정보, 장애 정보
-> 전송 시스템 정보 : IP 주소, 시스템 코드, 포트 번호 등
-> 서비스 코드 정보 : 수신 시스템에서 호출할 서비서 ID, 송신 시스템의 서비스 ID 등
☞ 거래 공통부 : 시스템들이 연동된 후 송,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할 때 필요한 정보
# 직원 정보, 승인자 정보, 기기 정보, 매체 정보
* 송, 수신 데이터 항목
- 송,수신 시스템이 업무를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데이터
- 전송되는 데이터 항목과 순서는 인터페이스별로 다름
* 공통 코드
- 시스템들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코드
- 상태 및 오류 코드 등과 같은 항목에 대해 코드값과 코드명, 코드 설명 등을 공통 코드로 관리
2. 정보 흐름 식별
- 개발할 시스템과 내,외부 시스템 사이에서 전송되는 정보들의 방향성을 식별
- 개발할 시스템과 내 외부 시스템에 대한 각각의 인터페이스 목록을 확인하여 정보흐름 식별
- 교환되는 주요 데이터 항목이나 정보 그룹 도출
* 정보 흐름 : 필요 시 표나 다이어 그램 형태로 작성
* 방향성 : 송, 수신 시스템 간 데이터를 송, 수신하는 형태를 의미 (단방향, 양방향(비동기, 동기))
3. 송,수신 데이터 식별
- 개발 시스템과 연계 내, 외부 시스템 사이의 정보 흐름과 데이터베이스 산출물 기반 송, 수신 데이터 식별
- 송,수신 데이터 종류 :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에 대한 데이터 항목, 코드성 데이터 항목
☞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과 송, 수신 데이터 항목 식별 : 송,수신 시스템 간 교환 범위 확인, 인터페이스 표준 항목에 대해 송, 수신 데이터 항목 식별
☞ 코드성 데이터 항목 식별 : 코드, 코드명, 코드 설명 등 코드 정보 식별
-> 코드성 항목에 대해 송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코드 정보 = 수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코드 정보 -> 공통 코드 정보 확보
사용하는 코드 정보 ≠ 수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코드 정보 -> 매핑 필요 대상 분류, 양쪽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코드 정보 확보
* 데이터베이스 산출물
->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명세서, 데이터베이스 설계 산출물(ERD), 테이블 정의서, 코드 정의서, 연계 대상 시스템의 테이블 정의서, 파일 레이아웃 등
※ 테이블 정의서 : 테이블에서 관리되는 칼럼들의 특징, 인덱스, 업무 규칙 등을 정의한 문서
※ 코드 정의서 : 데이터베이스에서 코드성 속성들을 정의한 문서, 코드성 속성은 속성명 뒤에 '코드'를 붙여 구별, 알파벳 문자열 조합, 일정 길이
'정보처리기사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2020년 요약 : 인터페이스 시스템 식별(29)] (0) | 2021.02.18 |
---|---|
[정보처리기사 2020년 요약 :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검증(28)] (0) | 2021.02.17 |
[정보처리기사 2020년 요약 : 시스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분석(27)] (0) | 2021.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