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 포스팅은 2020년 정처기 시나공 문제집을 바탕으로 복습(요약) 용도로 게시되었습니다.
1. 개발 시스템 식별
- 인터페이스 관련 자료 기반, 시스템 상세 식별정보 정의, 목록 작성
* 시스템 영문명
' 시스템 영문' 대신 '시스템 코드' 사용 가능
* 시스템 레벨
- 시스템 목록 작성 시 내부 시스템의 경우, 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스템 분류 체계를 기반으로 시스템 레벨과 상위 시스템 입력
- 각 단위 업무 시스템이 포함되는 상위 시스템에 따라 레벨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
# 상, 중, 하 3단계로 나눠지는 시스템 -> 총 3 레벨로 구분 -> 1 레벨 1,2 -> 2 레벨 1.1 1.2 2.1 2.2 -> 3 레벨 1.1.1 1.1.2 2.1.1 2.1.2...으로 단계마다 계층으로 구분
* 인터페이스 관련자료
- 시스템 아키텍처 : 시스템 내부에서 각각의 하위 시스템들이 어떠한 관계로 상호작용하는지
- 유스 케이스 :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기능 단위로 표현
2. 내 외부 시스템 식별
- 개발할 시스템과 연계할 내 외부 시스템들의 상세 식별정보 정의
3. 내 외부 시스템 환경 및 관리 주체 식별
- 내 외부 시스템 환경
# IP, URL, PORT 번호 -> 실제 운용 환경
- 내 외부 시스템 관리주체 -> 하드웨어 실제 관리 담당자
* 시스템 ID : 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스템 분류 체계에 따라 부여된 시스템 식별번호 사용
4. 내 외부 시스템 네트워크 연결 정보 식별
- 시스템 로그인 및 DB 정보를 의미
* DB 정보 : 데이터베이스 연계 시, 필요한 DBMS 유형 및 로그인 정보 등
5. 인터페이스 식별
-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명세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목록 기반 개발 시스템과 이와 연계할 내 외부 시스템 사이의 인터페이스 식별 및 목록 작성
* 인터페이스 ID
- 인터페이스 구분 식별자
- 식별성 강화 -> 업무 분류코드 + 연속번호 사용
* 인터페이스 명
- 인터페이스 목록 작성 시, 개발할 시스템과 다른 시스템 간 인터페이스 식별 위해 대표 이름 부여
* 관련 요구사항
- 인터페이스 요구 사항 명세서 or 목록 외 요구사항 번호 입력
6. 인터페이스 시스템 식별
- 인터페이스 별, 인터페이스에 참여하는 시스템들을 송신시스템과 수신시스템 구분, 작성
* 인터페이스 구분
- 인터페이스가 내부 시스템 또는 내 외부 시스템 사이 중 어디에서 발생하는지에 따라 대 내외 여부 구분
'정보처리기사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2020년 요약 : 송 수신 데이터 식별(30) with 시나공] (0) | 2021.02.18 |
---|---|
[정보처리기사 2020년 요약 :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검증(28)] (0) | 2021.02.17 |
[정보처리기사 2020년 요약 : 시스템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분석(27)] (0) | 2021.02.17 |